이 영역을 누르면 첫 페이지로 이동
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

가을달

페이지 맨 위로 올라가기

가을달

본 블로그는 개인 블로그로 글쓴이의 소속/직장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 아닌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하는 공간 입니다.

게임, 서비스, 제품 기획의 기본 MDA Framework

  • 2022.08.06 13:10
  • 읽고 보고 들은 것
728x90

앞서 포스팅했던 제품의 가치를 정의하는 방법에서 나온 Value Proposition Mapping이 워크숍 등 다수의 활동이라면 MDA는 조금 더 개인적으로, 실무단에서 쓸 수 있는 접근법이다. 둘 모두 고객 사이드와 제품 사이드에서 본다는 두 가지 시각을 가지고 하는 것은 같으나 MDA는 인간이라는 점에 초점을 더욱 맞추었다. 또한, "바꿀 수 있는 것", "바꿀 수 없는 것"을 명확히 구분하여 생각의 정리를 돕는다.

 

다만, MDA 프레임워크가 처음 제시된 것이 게임 기획(디자인) 영역이기에 대부분의 용어가 게임 산업에서 왔지만 이는 제품으로 치환해서 봐도 큰 문제가 없다. (우리의 제품이 엔터테인먼트 적 측면이 있거나, 재미라는 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 다면)

게임 디자이너(붉은색)의 관점으로부터의 구조, 행동, 반응 그리고 플레이어(녹색)의 시각

 

게임 디자인에서 구조(Mechanics)-행동(Dynamics)-반응(Aesthetics)에 기반한 MDA 프레임워크 게임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툴이다.

이것은 게임을 구조, 행동, 반응 3가지 요소로 나눔으로써 정형화한다. 이 3가지 단어는 비공식적으로나마 게임의 다양한 견해를 나타내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다. 그러나 MDA 프레임워크는 각 요소의 정확한 정의를 제공하고, 각각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, 그리고 플레이어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지 설명하는 길을 제안한다.

  • 구조(Mechanics)는 게임의 기본 요소, 즉 게임의 규칙이다. 플레이어가 게임 안에서 가질수 있는 모든 기본 액션, 게임 엔진 내 알고리즘, 데이터 구조 등이다.
  • 행동(Dynamics)은 플레이어 입력으로 인한 실시간 행동, 그리고 다른 구조물/구조체와 상호작용 및 협력 하는 것이다.
  • 반응(Aesthetics)은 플레이어에게 감정적 응답을 불러일으키는 것이다. 재밌다, 몰입된다. 등의 감정적 부분을 나타낸다.

Hunicke, LeBlanc, Zubec의 논문 <MDA: A Formal Approach to Game Design and Game Research>에 따르면 의하면 반응(Aesthetics)은 아래 8가지 타입이 있다.

  1. 감탄Sensation (감각적 쾌락으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에게 익숙지 않은 무언가를 경험하게 한다.
  2. 비현실성 Fantasy (상상으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현실에서 마주하기 힘든 상상의 세계를 보여준다.
  3. 서술 Narrative (드라마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다음 이야기가 궁금하게끔 만든다.
  4. 도전 Challenge (장애물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무언가를 마스터 끔 이끈다. 게임 리플레이를 유도한다.
  5. 소속감 Fellowship (사회구조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는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 일부가 되고 소속감을 느끼게 만든다.
  6. 발견 Discovery (미지의 영역으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게임 세계를 탐험하게 만든다. 발견의 기쁨을 느끼게 한다.
  7. 표현 Expression (자아발견으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자신의 창조성, 개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만든다. (예를 들어, 플레이어 자신의 아바타를 닮은 캐릭터를 만든다.)
  8. 순종 Submission(취미로서의 게임): 플레이어가 게임에 유기적으로 연결돼 삶의 일부가 되게 만든다.

 

게임 디자이너의 시각에선 "게임의 구조는 플레이어 행동을 발생시키고 플레이어의 행동은 플레이어의 반응을 발생시킨다."라고 정의할 수 있다. 이 관계는 게임 디자이너는 오직 게임 구조에만 영향을 미칠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레이어에게 의미 있는 행동과 반응을 만들어 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. 이에 반해, 플레이어의 시각은 이와 반대일 수 밖에 없다. 플레이어는 게임에서 제공된 행동으로 반응(감정)을 경험하고, 이러한 플레이어의 행동은 게임 구조으로부터 발생한다.

 

⇒ 즉, 건물로 비유하자면 구조(Mechanics)-행동(Dynamics)-반응(Aesthetics)에서 구조는 건물 그 자체이니 변경이 어렵다는 것을 인지하고 큰 프레임으로 생각하고, 행동은 해당 건물 내의 인테리어로 바꿀 수 있고 우리의 의도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며, 반응은 그 공간에 방문한 이들의 감상 혹은 바이럴로 보면 이해하기 쉽다.

 

 

728x90

'읽고 보고 들은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5WHY 시리즈] 우리는 모두 무슨 일을 어떻게든 한다.  (0) 2022.08.26
[5WHY 시리즈] 빠질 수 밖에 없는 함정 “본질”  (0) 2022.08.11
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(Chasm)이론  (0) 2022.07.31
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  (0) 2022.07.24
게임에서 이기고 싶은 모든 사람들을 위한 이야기  (4) 2022.07.22

댓글

이 글 공유하기

  • 구독하기

    구독하기

  • 카카오톡

    카카오톡

  • 라인

    라인

  • 트위터

    트위터

  • Facebook

    Facebook

  • 카카오스토리

    카카오스토리

  • 밴드

    밴드

  • 네이버 블로그

    네이버 블로그

  • Pocket

    Pocket

  • Evernote

    Evernote

다른 글

  • [5WHY 시리즈] 우리는 모두 무슨 일을 어떻게든 한다.

    [5WHY 시리즈] 우리는 모두 무슨 일을 어떻게든 한다.

    2022.08.26
  • [5WHY 시리즈] 빠질 수 밖에 없는 함정 “본질”

    [5WHY 시리즈] 빠질 수 밖에 없는 함정 “본질”

    2022.08.11
  •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(Chasm)이론

    알고 있으면 언젠가 꼭 쓰는 캐즘(Chasm)이론

    2022.07.31
  •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

    유니콘이 된 스타트업들의 Go to Market 전략 12가지

    2022.07.24
다른 글 더 둘러보기

정보

가을달 블로그의 첫 페이지로 이동

가을달

  • 가을달의 첫 페이지로 이동
250x250

검색

메뉴

  • 🏠 홈
  • 💁‍♂️ 글쓴이
  • 👍 페이스북
  • ❤ 인스타그램

카테고리

  • 분류 전체보기 (91)
    •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(31)
    • 커리어와 진로 (7)
    • 일상에서 영감찾기 (23)
    • 읽고 보고 들은 것 (17)
    • 사고 먹고 마시고 삼킨 것 (2)
    • 지극히 사적인 이야기 (9)

최근 글

인기 글

댓글

정보

이해봄의 가을달

가을달

이해봄

공지사항

  • 공지 - 가을달 블로그 탄생 이유

블로그 구독하기

  • 구독하기
  • 네이버 이웃 맺기
  • RSS 피드

티스토리

  • 티스토리 홈
  • 이 블로그 관리하기
  • 글쓰기

나의 외부 링크

  • 자기소개
Powered by Tistory / Kakao. © 이해봄. Designed by Fraccino.

티스토리툴바